조건문
- 조건문은 조건이 참(
true
), 거짓(false
)인지에 따라 코드 수행 여부를 따짐
조건문
if문 작성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이면 내부 code 실행
//code
}
if, else if, else 문
if
,else if
,else
순서로 동작한다.else
는 조건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var score = prompt("나의 점수는??");
// prompt는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면 입력창이 뜨며, 입력값을 score에 반환한다.
if (score >= 90) document.write("A", score);
// document.write는 입력 값을 화면에 출력한다.
else if (score >= 80) document.write("B", score);
else if (score >= 70) document.write("C", score);
else document.write("분발하세요!", score);
// 입력: 87
// 출력 B 87
삼항 조건 연산자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때 : 조건식이 거짓일 때
의 형태를 가진다.
var a = 10;
var b = 8;
let check = a > b ? true : false;
console.log(check); //true
// 위의 삼항 조건 연산자를 풀어서 사용하면 밑의 if-else문과 같다.
let check;
if (a > b) {
check = true;
} else {
check = false;
}
console.log(check); //true
// 삼항 연사자를 여러번 사용
var score = 74;
if (score >= 90) {
console.log("A");
} else if (score >= 80) {
console.log("B");
} else {
console.log("C");
}
//C
// 위의 조건문은 밑의 삼항 조건 연산자와 같다.
var score = 89;
score >= 90
? console.log("A")
: score >= 80
? console.log("B")
: console.log("C");
//B
danger
if 조건문과 삼항 조건 연산자의 차이점은 뭐가 있을까?
템플릿 리터럴 내부에서 사용할 때 차이점이 존재한다.
var a = 10
console.log(`${a > 0 ? "정답" : "오류"} 입니다.`) // 정답 입니다.
console.log(`${if(a > 0){console.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