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React Query

React Query란?

  •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 서버 상태 및 캐시를 관리하고, API 호출과 같은 비동기 작업을 단순화 작업
  • 해당 React 프로젝트 경로 터미널에 npm install @tanstack/react-query 입력하여 설치
tip

react-query V4이하를 사용할 경우, npm install react-query를 설치

React Query 초기 설정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App />
</QueryClientProvider>
);
note

queryClient 변수는 QueryClient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React Query의 상태와 관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생성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를 통해 React Query를 사용할 수 있게 최상위 Component를 감싸준다.

useQuery

  • 데이터를 가져오는 비동기 작업(GET방식)을 관리하는 데 사용
  • useQuery({queryKey: query 키, queryFn: 비동기 함수, 추가 옵션})의 형태로 사용
tip

useQuery의 함수 옵션

let {useQuery 결과값에 대한 속성} = useQuery({
queryKey,
queryFn,
gcTime
...
})
  • 핵심 옵션
    • queryKey: Query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키. 캐시에서 데이터를 찾을 때 사용
    • queryFn: 데이터를 가져오는 비동기 함수
    • gcTime: 가비지 컬렉션을 위한 시간 간격 조정. 기본값은 5분(1000 * 60 * 5)
    • staleTime: 데이터가 만료되어 다시 조회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설정
    • enabled: 값이 true일 경우 동기적인 함수로 실행

useQuery 문서

info

gcTime과 staleTime

  • gcTime(Garbage Collection Time)

    • cacheTime이라고도 부름
    • 캐시에서 사용되지 않는(해당 Query unMount, inactive) Query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제거될 때 까지의 시간
    • gcTime은 staleTime과 관계없이, 비활성화된 상태 기준으로 캐시 데이터 삭제를 결정
  • staleTime

    • stale은 오래된의 의미
    • 이전 Query의 캐시가 존재하지만, 일정 시간동안 업데이트 되지 않는 시간
    • staleTime 동안의 데이터는 fresh상태, staleTime이 초과될 경우 stale상태
    • stale상태일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를 새로고침. 캐시된 데이터는 즉시 확인

정적 Query Key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fetchData = async () => {
const { data }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
return data;
};

export default fetchData;
App.js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fetchData from "./Async";

function App() {
const { data, isLoading, error } = useQuery({
queryKey: ["todos"],
queryFn: fetchData,
});

if (isLoading) {
return <>로딩 중</>;
}

if (error) {
return <>에러 발생!!</>;
}

return (
<>
<h1>제목: {data.title}</h1>
</>
);
}
export default App;

image

note

위의 코드는 useQuery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하는 코드이다.
queryKey고유 query key값을 설정, queryFn데이터를 받아올 비동기 함수를 등록한다.

데이터를 받아오는 단계(pending)에서 isLoading을 통해 로딩화면을 표현
실패할 경우 error화면을 표현한다.

동적 Query Key

  • Query 동작과정은 일치하나 개별로 관리해야할 경우 사용
  • 편리한 유지보수 및 가독성을 위해 사용
tip

query 캐시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react query devtools를 사용
해당 React 프로젝트 경로 터미널에 npm install @tanstack/react-query-devtools 입력하여 설치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ReactQueryDevtools } from "@tanstack/react-query-devtools";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App />
<ReactQueryDevtools initialIsOpen={true} />
</QueryClientProvider>
);

위와 같이 ReactQueryDevtools 태그를 작성해서 사용하면 된다.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fetchUsers = async (page, pageSize) => {
const response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
{
params: {
_page: page,
_limit: pageSize,
},
}
);
return response.data;
};

export default fetchUsers;
App.js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fetchUsers from "./Async";

const App = () => {
const [page, setPage] = useState(1);
const pageSize = 2;

function decrease() {
if (page > 1) setPage(page - 1);
}

function increase() {
if (page < 5) setPage(page + 1);
}

const {
data: users,
isLoading,
isError,
} = useQuery({
queryKey: ["users", page, pageSize],
queryFn: () => fetchUsers(page, pageSize),
});

if (isLoading) {
return <div>로딩 중</div>;
}

if (isError) {
return <div>에러 발생</div>;
}

return (
<div>
<h1>Users List</h1>
<ul>
{users.map((user) => (
<li key={user.id}>{user.name}</li>
))}
</ul>
<button onClick={decrease}>이전</button>
<button onClick={increase}>다음</button>
</div>
);
};

export default App;

image

note

위의 코드는 Query의 key값이 동적인 경우에 대한 예시 코드이다.
page와 pageSize를 인자로 받아, 페이지에 해당하는 사용자 목록을 가져온다.
page혹은 pageSize값이 변할 때마다, 새로운 Query가 생성이 되며 독립적으로 캐시 관리를 한다.

image

즉, key값이 동적일 경우에 같은 기능의 비동기 함수를 사용하더라도 개별의 Query를 관리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페이지의 Query에 대한 부가적인 동작(업데이트, 패치 등)을 구현 할 수 있다.

useQueries

  • 여러 개의 Query를 동시에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React Query의 함수
  • useQuery와 유사하지만 여러 개의 Query를 배열로 받아 처리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export const fetchData = async () => {
const { data }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
return data;
};

export const fetchDataUser = async () => {
const { data }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1"
);
return data;
};
App.js
import { useQueries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fetchData, fetchDataUser } from "./Async";

function App() {
const queryResult = useQueries({
queries: [
{ queryKey: "todos", queryFn: fetchData },
{ queryKey: "users", queryFn: fetchDataUser },
],
});

if (queryResult[0].isLoading && queryResult[1].isLoading) {
return <>로딩 중</>;
}

if (queryResult[0].error && queryResult[1].error) {
return <>에러 발생!!</>;
}

return (
<>
<h1>제목: {queryResult[0].data.title}</h1>
<h2>유저 이름: {queryResult[1].data.name}</h2>
</>
);
}
export default App;

image

note

useQueries 같은 경우, 여러개의 Query를 queries속성에 배열로 정보를 저장해야된다.
각 Query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해서 해당 query의 index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호출하면 된다.

만약 두개의 Query 중 하나가 실패, 하나가 성공할 경우, 성공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반환이 된다.
React Query에서 모든 Query가 독립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useMutation

  • 데이터의 생성(CREATE), 수정(UPDATE), 삭제(DELETE)와 같은 변경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
  • API 호출과 같은 비동기 작업에 사용, 작업이 성공하면 데이터를 업데이트 실패하면 에러를 처리
  • useMutation({mutationFn: 비동기 함수, 추가 옵션})의 형태로 사용
비동기 함수(post)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createPost = async (newPost)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axios.pos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
newPost
);
return response.data;
} catch (error) {
throw new Error("Failed to create post");
}
};

export default createPost;
App.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Mutation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createPost from "./Async";

const App = () => {
const mutation = useMutation({
mutationFn: createPost,
onMutate: (data) => {
console.log("onMutate", data);
},
onError: (error, variable, context) => {
console.log("onError", error, variable, context);
},
onSuccess: (data, variables, context) => {
// data: 서버로부터 반환받은 새로 생성된 포스트 데이터
// variables: createPost 함수에 전달된 인자, 즉 생성하려는 포스트 데이터
// context : 뮤테이션의 생명주기 동안 특정 상태를 전달하거나, mutation이 트리거되기 전의 상태
console.log("onSuccess", data, variables, context);
},
onSettled: () => {
console.log("onSettled");
},
});

const handleCreatePost = async () => {
const newPost = {
title: "New Post",
body: "This is the body of the new post.",
userId: 1,
};

mutation.mutate(newPost);
};

return (
<div>
<button onClick={handleCreatePost} disabled={mutation.isLoading}>
Create Post
</button>
{mutation.isLoading && <p>Creating...</p>}
{mutation.isError && <p>Error: {mutation.error.message}</p>}
</div>
);
};

export default App;

image

note

useMutation을 이용하여 비동기 함수(post)의 결과를 보여주는 코드이다.
버튼을 클릭 시, hanldeCreatePost함수가 실행이 되며 내부에서 useMutation의 mutate메소드가 Argument값과 함께 실행이 된다.
이를 통해, createPost 비동기 함수에게 값이 전달되며 실행이 되어, mutation의 결과 값이 어떻게 반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useMutation()의 추가 옵션

  • onMutate: mutation이 트리거가 되기 직전에 호출
  • onSuccess: 비동기 함수의 처리가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경우
  • onError: 비동기 함수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되지않을 경우
  • onSettled: 비동기 함수의 성공/실패와 상관없이 완료되면 실행

useMutation 문서

QueryCache

  • Query 결과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
  • 다양한 설정을 통해 동작을 조절하고, query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
QueryCache 코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import {
QueryCache,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queryCache: new QueryCache({
onError: (error, query) => {
console.log("에러 출력", error, query);
},
onSuccess: (data) => {
console.log("성공 출력", data);
},
}),
});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App />
</QueryClientProvider>
);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export const fetchData = async () => {
const { data }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
return data;
};
App.js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fetchData } from "./Async";

function App() {
const queryResult = useQuery({ queryKey: ["todos"], queryFn: fetchData });

if (queryResult.isLoading) {
return <>로딩 중</>;
}

if (queryResult.error) {
return <>에러 발생!!</>;
}

return (
<>
<h1>제목: {queryResult.data.title}</h1>
</>
);
}
export default App;

image

note

QueryCache와 같은 경우, 초기 Query의 영역을 지정할 때 함께 사용하는 함수이다.
Query가 성공적으로 실행될 경우 QueryCache안 onSuccess 속성이 실행이 되며, 실패할 경우, onError 속성이 실행된다.
QueryCache는 Query들이 전역적으로 실행 결과에 대한 확인 및 관리하는 React Query의 객체이다.

React Query의 Suspense모드

  • 데이터 로딩을 전역적으로 간단하게 처리
  • React에서 비동기 데이터 로딩 화면을 더 쉽게 다루도록 해주는 기능
선택적 Query Suspense
index.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React.Suspense fallback={<div>Loading...</div>}>
<App />
</React.Suspense>
</QueryClientProvider>
);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fetchPosts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
);
return response.data;
};

export default fetchPosts;
선택적 suspense 코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fetchPosts from "./Async";

const App = () => {
const { data, isError, error } = useQuery({
queryKey: ["posts"],
queryFn: fetchPosts,
suspense: true,
});

if (isError) {
return <p>Error: {error.message}</p>;
}

return (
<div>
<h1>Post List</h1>
<ul>
{data.map((post) => (
<li key={post.id}>{post.title}</li>
))}
</ul>
</div>
);
};

export default App;
note

위의 index.js 코드에서 Suspense를 사용하기 위해 설정을 해야된다.
Suspens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uspense를 사용할 Component보다 상위에 존재해야한다.
<React.Suspense fallback={<Loading에 표현할 Component/>}를 최상위 Component로 설정을 하면 Suspense 사용 가능

Suspense를 사용할 Query의 속성에 {suspense:true}을 추가로 작성하면 된다.
그럼 Suspense를 등록한 Query가 비동기 통신 진행 상태(Pending)일 경우,
<React.Suspense>속성의 fallback속성에 표현할 Component 화면이 출력된다.

이를 통해 공통으로 로딩 화면을 표현할 Query에 사용 가능하다.

모든 Query Suspense
index.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defaultOptions: {
queries: {
suspense: true,
},
},
});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React.Suspense fallback={<div>Loading...</div>}>
<App />
</React.Suspense>
</QueryClientProvider>
);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fetchPosts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
);
return response.data;
};

export default fetchPosts;
App.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fetchPosts from "./Async";

const App = () => {
const { data, isError, error } = useQuery({
queryKey: ["posts"],
queryFn: fetchPosts,
});

if (isError) {
return <p>Error: {error.message}</p>;
}

return (
<div>
<h1>Post List</h1>
<ul>
{data.map((post) => (
<li key={post.id}>{post.title}</li>
))}
</ul>
</div>
);
};

export default App;
note

Suspense를 사용하는 방법 중 다른 방법이다.
위의 코드와 같은 경우 개별적으로 Query에 대해 옵션을 부여하지 않고,
QueryClient의 옵션을 통해 사용하는 모든 Query에 대해 Suspense를 옵션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사용법은 최상위 Component에 접근하여 QueryClient에게 옵션을 부여하면 된다.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defaultOptions: {
queries: {
suspense: true,
},
},
});

이를 통해, 사용할 모든 Query들에게 Suspense를 부여한다.

모든 Query가 똑같은 로딩화면을 제공할 경우 매우 편리하다.

PrefetchQuery

  • 특정 query 데이터를 미리 가져와 캐시에 저장하는 역할
  •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데이터를 요구하기 전에 데이터를 미리 로드
prefetchQuery 구현
index.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ReactQueryDevtools } from "@tanstack/react-query-devtools";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App />
<ReactQueryDevtools initialIsOpen={true} />
</QueryClientProvider>
);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export const fetchPostsByPage = async (page) => {
const { data }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_limit=10&_page=${page}`
);
return data;
};
App.js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Query, useQueryClient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fetchPostsByPage } from "./Async";

function App() {
const [page, setPage] = useState(1);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const {
data: posts,
isLoading,
isError,
error,
} = useQuery({
queryKey: ["posts", page],
queryFn: () => fetchPostsByPage(page),
keepPreviousData: true, // 이전 페이지 데이터 유지
staleTime: 5000, // 캐시 데이터의 fresh 유지 시간
});

useEffect(() => {
const nextPage = page + 1;
queryClient.prefetchQuery({
queryKey: ["posts", nextPage],
queryFn: () => fetchPostsByPage(nextPage),
});
}, [page, queryClient]);

if (isLoading) return <div>로딩중...</div>;
if (isError) return <div>에러: {error.message}</div>;

return (
<div>
<button
onClick={() => setPage((old) => (old > 0 ? old - 1 : old))}
disabled={page === 1}
>
이전 페이지
</button>
<button onClick={() => setPage((old) => old + 1)} disabled={page === 10}>
다음 페이지
</button>
<div>
{posts &&
posts.map((post) => (
<div key={post.id}>
<h3>{post.title}</h3>
</div>
))}
</div>
</div>
);
}

export default App;
note

App.js에는 API를 통해 10개씩 데이터를 표현하는 코드다.

useEffect(() => {
const nextPage = page + 1;
queryClient.prefetchQuery({
queryKey: ["posts", nextPage],
queryFn: () => fetchPostsByPage(nextPage),
});
}, [page, queryClient]);

useEffect를 통해 page와 queryClient의 값이 바뀔때마다 prefetchQuery를 실행시킨다.
useState의 page의 상태값에 1을 더해 다음 페이지에 대해 미리 query 데이터를 캐싱하는 작업이다.

image

처음 마운트가 될 때, prefetchQuery를 통해 먼저 ["posts",2]를 캐싱 한다.
이후 ["posts",1]을 캐싱하여, ["posts",1]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한다.
react-query-devtools을 통해 ["posts",1]["posts",2]가 캐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다음 페이지버튼을 누를 경우, ["posts",2]에 대한 query 데이터를 가져온다.
prefetchQuery를 통해 ["posts",2]에 대한 데이터가 캐싱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로딩화면 없이 데이터를 표현 가능하다.
["posts",2]에 대한 페이지를 렌더링하기 전, ["posts",3]에 대한 query를 prefetch를 한다.

prefetchQuery를 통해 사용자의 기준에서 별도의 로딩화면 없이 데이터를 즉시 표현할 수 있다.

invalidateQueries

  • 캐시된 query를 무효화시키고,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새로운 데이터로 갱신
  •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최신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
invalidateQueries 구현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export const fetchComments = async () => {
const { data }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comments?_limit=5"
);
return data;
};

export const updateComment = async (commentId, newInfo) => {
const { data } = await axios.pu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comments/${commentId}`,
newInfo
);
return data;
};
App.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Query, useQueryClient, useMutation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fetchComments, updateComment } from "./Async";

function App() {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const {
data: comments,
isLoading,
error,
} = useQuery({
queryKey: ["comments"],
queryFn: fetchComments,
});

const { mutate } = useMutation({
mutationFn: updateComment,
onSuccess: () =>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comments"] });
},
});

if (isLoading) return <div>로딩 중...</div>;
if (error) return <div>에러 발생: {error.message}</div>;

const handleUpdate = (comment) => {
mutate(comment.id, { ...comment, body: "Updated comment!" });
};

return (
<div>
<h1>Comments</h1>
{comments.map((comment) => (
<div key={comment.id}>
<h4>{comment.name}</h4>
<button onClick={() => handleUpdate(comment)}>댓글 업데이트</button>
</div>
))}
</div>
);
}

export default App;

image

danger

실제 API는 동작하지 않는다.

note

해당 API의 데이터 표현 및 수정을 하는 코드이다.
useQuery를 통해 comments query를 캐싱한다.
댓글 업데이트 버튼을 누를 경우, comment를 업데이트하는 mutation을 실행시킨다.

const { mutate } = useMutation({
mutationFn: updateComment,
onSuccess: () =>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comments"] });
},
});

mutation이 실행되어 성공할 경우, invalidateQueries가 실행된다.
invalidateQueries에 입력된 query 키값의 캐싱이 무효화가 된다.
이후, useQuery가 실행되어 새로운 데이터를 캐싱하며, 리렌더링이 발생한다.

caution

invalidateQueries 사용 시, 주의 사항

query key가 ["comments"], ["comments",1], ["comments",{ type: 1}]이 있다고 가정.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comments"] });

위의 코드와 같이 실행될 경우, ["comments"]만 invalidate가 되는 것이 아니다.
queryKey의 값 중 ["comments"]가 포함된 모든 query들이 다 invalidate가 되어 캐시가 무효화가 된다.

info

invalidateQueries 추가 옵션

  • exact: 정확히 일치하는 query Key만 무효화(기본값 false)
  • refetchActive: 활성화된 query에 대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시 가져올지 여부를 결정(기본값 true)
  • refetchInactive: 비활성된 query에 대해서도 데이터를 다시 가져올지 여부를 결정(기본값 false)
  • predicate: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query만 무효화할 수 있는 함수를 제공. boolean 값을 반환
  • type: query 대상을 설정
    • all: 비/활성화된 query
    • active: 활성화된 query
    • inactive: 비활성화된 query

useInfiniteQuery(무한 스크롤)

  • 무한 스크롤 혹은 페이지 네이션을 구현할 때 사용
  • 사용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 점진적으로 불러와 성능 개선
caution

무한 스크롤에 사용 시, 고려 사항

사용자가 스크롤하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페이지 끝에 도달했을 때 추가적인 데이터를 불러와야 한다.
이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주로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

  1. Intersection Observer API
  • 브라우저 내장 API
  • 타겟 요소가 뷰포트(화면에 보이는 영역)에 들어오는지 여부를 비동기적으로 감지
  • 데이터를 추가로 불러올 버튼이나 페이지 끝을 감지하는 데 유용
  1. viewport를 이용한 스크롤 이벤트 핸들링
  • 사용자의 스크롤 위치를 계산하여 특정 지점에서 추가 데이터를 요청
IntersectionObserver API를 이용한 무한스크롤 구현
비동기 함수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fetchPosts = async ({ pageParam = 1 }) => {
const res = await axios.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_page=${pageParam}&_limit=10`
);
return res.data;
};

export default fetchPosts;
무한스크롤 구현
import React, { useEffect, useRef } from "react";
import { useInfinit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fetchPosts from "./Async";

const App = () => {
const { data, fetchNextPage, hasNextPage, isFetchingNextPage } =
useInfiniteQuery({
queryKey: ["infiniteScroll"],
queryFn: fetchPosts,
getNextPageParam: (lastPage, pages) => pages.length + 1,
});

const observer = useRef();

useEffect(() => {
if (isFetchingNextPage || !hasNextPage) return;

const observerInstance = new IntersectionObserver((entries) => {
if (entries[0].isIntersecting) {
fetchNextPage();
}
});

if (observer.current) {
observerInstance.observe(observer.current);
}

return () => {
if (observer.current) {
observerInstance.unobserve(observer.current);
}
};
}, [isFetchingNextPage, fetchNextPage, hasNextPage]);

return (
<div style={{ height: "30vh", overflow: "auto" }}>
{data?.pages.map((page, pageIndex) => (
<React.Fragment key={pageIndex}>
{page.map((post, postIndex) => (
<p
key={post.id}
ref={page.length === postIndex + 1 ? observer : null}
>
{post.title}
</p>
))}
</React.Fragment>
))}
</div>
);
};

export default App;
note

위의 코드는 useInfiniteQuery를 이용해 스크롤이 최하단에 내려갈 경우, 새로운 데이터를 보여주는 코드이다.

useInfiniteQuery 옵션

  • getNextPageParam:
    • 불러온 데이터의 마지막 페이지를 기반으로 다음 페이지 데이터를 요청할 때 필요한 변수를 반환
    • 다음 페이지 데이터 요청 시 queryFn에 전달

useInfiniteQuery 반환값

  • fetchNextPage: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불러오는 함수
  • hasNextPage: 더 불러올 페이지가 있는 확인하는 값(boolean). true일 경우 fetchNextPage를 호출
  • isFetchingNextPage: 다음 페이지가 패칭 중인지 나타내는 값(boolean)

useInfiniteQuery 속성 및 옵션 문서


IntersectionObserver를 이용해서 무한 스크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크롤 위치를 확인 해야한다.
useRef를 이용해서 호출된 데이터의 마지막 요소에 대해 참조한다.

const observer = useRef();

IntersectionObserver 인스턴스를 통해 페이지의 마지막 요소가 viewport에 들어올 때 실행될 콜백 함수를 정의한다
entries[0].isIntersecting를 통해 viewport와 교차하는지 확인을 한다.
교차가 확인이 될 경우, fetchNextPage함수가 실행된다.
fetchNextPage가 실행되면 getNextPageParam도 실행되어,
lastPage(이전에 불러온 페이지 데이터)page(현재까지 불러온 모든 페이지의 배열)를 인자를 연산 후,
queryFn에 전달해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요청한다.

const observerInstance = new IntersectionObserver((entries) => {
if (entries[0].isIntersecting) {
fetchNextPage();
}
});

ref를 참조한 요소를 IntersectionObserver의 관찰 대상으로 설정한다.

if (observer.current) {
observerInstance.observe(observer.current);
}

useEffect가 unMount가 될 경우, clean-up함수를 통해 관찰 대상을 해제한다.
Component가 사라진 후에도 불필요한 작업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return () => {
if (observer.current) {
observerInstance.unobserve(observer.current);
}
};